항암 치료 후 발병가능병소

본문 바로가기
카카오톡상담 삼성서울병원 협진의원
사이트 내 전체검색

  • 진료시간 안내 02-3411-7988
    • 무료 주차 대행 서비스
    • 평일 09:30~ 오후 06:30
      점심시간 오후 1~2시
    • 토요일: 09:00~오후 02:00
      점심시간 없음
    • 일요일 및 공휴일 휴진
  • 오시는 길 안내 강남구 일원로 53 소림빌딩 6층
항암 치료 후 발병가능병소

이석형 치과 Implant Dental Clinic

  • 항암환자를 위한 치아관리클리닉

  • 항암 치료 전 치과 치료 및 관리 프로그램

  • 항암 치료 중 치과 치료 및 관리 프로그램

  • 항암 치료 후 치과 치료 및 관리 프로그램

  • 항암 치료 환자 집중 구강 관리 프로그램

  • 항암치료 후 발병가능병소

항암 치료 후 발병가능병소

항암 치료 후 발생 가능한 구강 내 병소에 따른 예방 치료법

01. 구내염

구강 점막은 항암, 방사선 치료에 가장 민감하고 빠르게 분열하는 세포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항암 치료 시작 후 2 주경 점막의 발적 및 점막염이 발생하게 됩니다. 음식물 섭취가 어려워지고 구내염 부위로 이차 감염의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예방 치료 및 관리 방법

항암 치료 전 구강 점막에 손상을 주지 않는 작고 부드러운 칫솔 처방과 구강점막에 상처를 주지 않는 양치법을 배워야 합니다. 또한 구내염으로 인한 2차 감염을 막기 위하여 항암 환자를 위한 알코올 성분이 없고 맵지 않은 항암 환자용 구강 소독액으로 구강 내 소독을 철저히 시행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구강 위생 교육은 항암 치료 전 받으셔서 구내염이 발생 하지 않도록 하고 구내염이 발생 했다면 2차 감염이 발생 하지 않도록 철저한 구강 위생이 필요 합니다. 그리고 항암 치료 중에는 일주일에 1회 구강 내 청소 및 소독을 위하여 치과에 내원 하여 치아와 잇몸에 자극이 없는 기구를 이용 하여 구강 내 관리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구강관리 프로그램)

의치 환자

잘 맞지 않는 의치는 점막을 자극하여 구내염을 심화시킵니다. 항암 치료 전에 치과에 내원하시어 반드시 적합성이 좋은 의치로 교체하십시오. (의치교체치료)


[구내염]

02. 미각 상실 또는 미각 둔화

치료선량 만으로도 광범위한 퇴행성 변화가 미뢰(혀의 맛을 느끼는 감각기관)에 발생하여 방사선 치료 시작 후 2-3주경에 미각상실 또는 미각 둔화가 발생 하지만, 방사선 치료를 받은 지 2개월-4개월 후 정상 회복됩니다.

예방 치료 및 관리 방법

방사선 치료 와 강한 약물 치료의 후유증으로 발생 하는 미각 둔화를 근본적으로 막을 수는 없지만, 최근 방사선 치료의 발전과 좋은 약물의 개발로 인하여 미각 상실이 현저하게 줄어 든 것 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구내염으로 인한 2차 감염을 방지 하고 구강 건조증으로 인한 미각 둔화의 심화를 적절하게 막는 다면, 더 빨리 미각 둔화를 회복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구강건조 방지장치치료)

03. 침샘 소실 및 기능 저하

항암 치료 후 침샘의 제거 또는 방사선에 의한 침샘 세포의 손상과 약물 치료의 부작용으로 침 분비 기능의 저하가 나타나서 침의 분비가 극도로 저하 됩니다. 구강 내 침샘에서 침의 분비가 줄어 들면, 이물감, 불편감으로 혀와 뺨을 자주 깨물게 되고, 심해지면 소화불량, 언어장애, 저작 장애, 충치, 잇몸질환 등등의 장애를 유발 하게 됩니다.

예방 치료 및 관리 방법

항암 치료 전 항암 치료 계획에 따라서 미리 침샘 소실과 침샘의 기능 저하를 예상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강 내 모든 조직(치아, 보철물, 잇몸 형태)들을 단순화 시켜서 환자 스스로 관리 하기 좋은 형태로 수정 해 놓아야 합니다. 치아의 날카로운 부분은 미리 부드럽게 연마 치료 하여 구강 내 연조직의 상처를 방지 시키고 보철물도 침이 꼭 필요한 가철성 틀니를 대신 하여 고정성 단순 보철물로 다시 치료 하며, 보철물의 재질도 금속에서 생체 친화성이 좋은 세라믹으로 수정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잇몸 염증 치료를 항암 치료 전 반드시 실시 하여 구내염 가능성을 최대한 줄여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구강건강 관리프로그램 과 구강건조 방지 장치치료)

04. 구강 건조증

구강 악안면 영역 항암 치료 시 침샘의 손상으로 침의 양이 급속도로 줄어들면 가장 먼저 구강 건조증 나타나게 됩니다. 이에 따라 혀가 갈라지고 미각의 변화가 발생 될 수 있습니다. 이후 구강 내 발생 하는 충치 및 잇몸 질환의 주된 원인이 구강 건조증입니다. 나아가 구강 건조증이 오래 지속 되면 소화불량, 언어 장애, 저작 장애 또한 발생 하게 됩니다.

치료 및 관리 방법

알코올이 주성분인 일반 가글액과 치약은 점막이 아프고 매워서 사용이 불가 하고 항암 환자용 특수 가글액과 특수치약을 사용 하여야 합니다. 반드시 색을 포함 하지 않는 투명한 생수를 환자는 항상 지참 하고 물을 자주 마시는 것이 아니라, 입 안이 촉촉해 질 정도 만 입에 물고 있도록 합니다. 절대 자극적인 사탕으로 침 분비를 유도 해서는 안됩니다. 설탕은 치명적인 치아 및 잇몸 손상을 가져올 것입니다. (구강건강 관리프로그램 과 구강건조 방지 장치치료)


[구강 건조증]

05. 방사선 치아우식증

방사선 치료 직후 급 만성 염증반응으로 구강 내 타액 분비가 감소됩니다. 타액분비 감소는 구강 상주균을 산생성균으로 변화시키고 타액의 항우식 효과에 영향을 미쳐 전 치아에 걸쳐 치아 우식증이 생기는 방사선 치아우식증을 유발시킵니다. 구강 내에서 침의 소실과 방사선 조사된 조직은 치아우식증에 취약하여 아주 심한 치아우식증을 발생 시킬 수 있습니다.

치료 및 관리 방법

항암치료 전 충치 치료와 불소 도포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치료기간 중, 후 계속적인 자가불소도포를 통해 방사선치아우식증의 발생을 예방 해야 합니다. 암이 완치 된 후 암 발생 전과 같은 정상적인 저작 활동 과 사회 활동을 하려면, 사소한 실수로 건강한 구강 내 조직의 파괴를 막아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충치치료 와 전문가 불소 도포 치료)


[방사선 우식증]

06. 방사선 골괴사

항암치료의 부작용 중 가장 무서운 합병증은 방사선 골괴사증 입니다. 방사선치료에 의해 구강 내 혈관 등이 감소되어 방어력이 감소되고 이에 추가적인 감염에 의해 골이 괴사되는 것이며 증상에 따라 광범위한 턱뼈를 제거 해야 하는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입니다. 방사선 치료를 받으면 구강 내 및 치아에 감각을 무디게 하여 좌우 저작압에 대한 아주 예민한 감각을 환자에게 정확하게 전달 하지 못하게 합니다. 이러한 감각 소실은 구강 내 염증 반응을 환자 스스로에게 정확하게 인지 하지 못하게 하여 염증이 있는 치아나 잇몸을 계속 사용 하다 보면 염증은 조용히 더 심해지고 방사선 골괴사로 큰 고통 이어질 수 있습니다.

치료 및 관리 방법

광범위한 치아우식증을 가진 치아 와 치주질환에 이환 되어 치주농양을 동반한 치아 등을 미리 발치 해야 합니다. 항암 방사선 치료를 받은 후 방사선 조사 후 발치 및 치주 수술 시 방사선 골괴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방사선 치료 후에는 잇몸 치료, 치주 수술, 발치와 같은 치과 치료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항암 치료 전 치과를 방문 하셔서 구강 검진 후 구강 내 충치 검사, 치주염 검사, 치아 동요도 검사 등을 반드시 해야 합니다. (항암 치료 전 치과치료)

치료 및 관리 방법

방사선 골괴사 등의 합병증 방지를 위해 항암치료 전 치과검진 시 좌우 정확한 교합 검사를 하는 것은 매우 중요 합니다. 항암 치료를 받게 되면 구강 내 교합 관계에 큰 변화를 가져옵니다. 구강 내 염증 반응이 심해지면 치아는 솟아 오르게 되며, 평소에 교합이 좋았던 환자들도 좌우 치아의 상 하 접촉의 불균형으로 특정 치아에 교합압이 집중 되면 치주염이 생기고 골수염으로 발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암치료 중이나 치료 후 교합검사를 틈틈이 하여 교합 조정을 통해서 교합 균형을 맞추어 주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또한 교합조정은 항암치료 중이나 후에도 아무런 조치 없이 시행 할 수 있는 안전하고 간단한 치료이기 때문에 음식물 저작 시 좌우 균형이 맞지 않는다고 판단 되면 치과에 내원 하여 항암 치료 전 기록 해 놓은 교합과 현재의 교합이 일치 하는지 반드시 평가 해 보아야 합니다. (교합 검사 및 교합 조정)


[방사선 골괴사]

07. 언어 장애

구강 내에 항암 방사선을 직접 조사한 경우 혀의 운동 장애와 개구 장애로 인하여 말하는 것이 치료 전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특정 발음에 어려움을 호소 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및 관리 방법

혀의 운동 장애는 극복이 아주 쉽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혀의 운동 장애는 항암 치료 후 적극적인 운동 물리 치료를 통하여. 많이 좋아 질 수 있습니다. 개구 장애는 혀의 운동 장애에 비해서 운동 치료 효과가 훨씬 좋으며, 따라서 운동 물리 치료 후 발음도 많이 정상화 될 수 있습니다. (자가 개구 운동 물리 치료)

08. 개구 장애

구강 내에 항암 방사선을 직접 조사한 경우 구강암으로 구강 내 수술을 한 경우 저작근육의 경직으로 인한 개구 장애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및 관리 방법

개구 장애는 운동 물리 치료의 효과를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시기는 항암 치료 후 바로 시작 하는 것이 제일 좋으며, 시간이 지날 수록 운동 물리 치료의 효과는 떨어지게 됩니다. 그러나 항암 치료 후 시간이 경과 되었다고 하더라도 운동 물리 치료는 조금 더 힘들고 시간이 더 걸리지만 비교적 효과가 좋아서 입이 많이 벌어 질 수 있습니다. (자가 개구 운동 물리 치료)

09. 치주 질환

침샘의 기능 저하로 타액의 항균작용이 감소되어 치주조직의 염증반응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단지 구강 건조증 만으로도 치주 질환은 심해 지게 되며, 이것은 음식물 섭취 후 치아에 음식물 찌꺼기를 더 잘 달라 붙게 하여 일반적인 칫솔질 만으로는 제거가 힘들어 지고 이러한 관리 부실이 지속 될 경우 치주질환은 매우 급속도로 진행 되어 암은 완치가 되었으나 치료가 되지 않는 치주 질환으로 치아의 건강을 잃고 예상 하지 못 했던 소화 기능에 대한 걱정을 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및 관리 방법

항암치료 전 스켈링 및 잇몸치료를 통해 치주질환을 해결하고 올바른 양치질 방법 교육 및 항암 환자 전용 칫솔 사용 과 항암 환자 전용 치약 그리고 항암 환자 전용 구강 내 소독액 등 전문적인 구강위생강화 프로그램을 통해 치주염의 진행을 방지해야 합니다. 또한 교합치료를 통해서 항암 치료 수 발생 할 수 있는 상하 좌우 교합의 불균형을 항암 치료 전과 같은 상태로 계속 유지 시켜서 항암 치료 후 발생 할 수 있는 특정 치아의 교합압 집중을 막아 주어야 치주염, 구내염 과 방사선 골괴사를 막을 수 있습니다. (항암 치료 전 치과치료 와 구강건강 관리 프로그램)

10. 저작 장애 와 소화 장애

저작 근육의 경직과 혀의 운동 장애 그리고 개구 장애 등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정상적인 저작이 힘들 수 있다.

치료 및 관리 방법

혀의 운동 장애가 심한 경우 음식물을 구강에서 식도로 밀어 넣는 역할을 하는 혀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는 치아로 음식물을 분쇄 한다고 하더라도 그 이후의 기능 이상으로 구강 내에만 음식물이 남아 있을 수 있어서 가장 어려운 경우입니다. 구강 내에 저작근은 5 종류가 있기 때문에 한 두 개의 저작근이 손상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다른 저작근들이 비슷한 역할을 하여 항암 치료 후 운동 물리 치료를 잘 받으면 음식물을 어느 정도 분쇄 할 수 있습니다. (자가 개구 운동 물리 치료)

11. 악관절 질환

입이 잘 벌어지지 않는 경우 항암 치료 시 받은 자극으로 인하여 대부분 저작근이 부은 상태로 인한 일시적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악관절의 손상을 동반 하거나 입이 벌어 지지 않는 증상을 오래 방치 하여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 악관절증으로 이환 되어 뜻하지 않은 고통과 고생을 하게 됩니다.

치료 및 관리 방법

입이 잘 벌어지지 않는 경우 악관절에 통증을 동반 하지 않는다고 하여도 치과에 내원 하여 검사를 받고 입을 가능한 빨리 벌어지게 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입을 잘 벌어지게 하는 것은 항암 치료의 결과와 상관이 없으며, 오히려 입을 빨리 잘 벌려서 정상적인 저작과 소화가 이루어 진다면 항암 치료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악관절 질환 이라는 진단을 받는 다면 적극적인 악관절 치료를 통하여 입이 잘 벌어지게 하여야 할 것입니다. (악관절 치료)

상기 증상은 모든 환자에게 나타나는 증상은 아니며, 항암 치료 전처치를 잘 받고 관리 하면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항암치료 환자를 위한 구강 건강 관리 클리닉의 목적은 항암 치료 중 발생 할 수 있는 다양한 구강 내 부작용의 발생을 방지하고 최소화하여 항암치료가 효율적으로 진행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상호: 이석형치과의원 대표자명: 이석형 사업자등록번호: 120-12-07561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로 53 소림빌딩 6층 TEL: 02.3411.7988 / 070.7738.7988 FAX: 02.3411.7987
www.implantdenture.co.kr, www.implantdenture.asia webmaster@implantdenture.co.kr Copyright All Rights Reserved.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상단으로